<낙산에 올라> 미래를 위한 대화 (한성대신문, 581호)

    • 입력 2022-09-19 00:00
    • |
    • 수정 2022-09-18 11:54

2022년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나라 안팎으로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미·중 갈등, 노조 갈등, 정치 갈등, 젠더갈등 등이 있다. 심지어 요즘은 파급력이 거대해 과거보다 널리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갈등을 잘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갈등의 원인을 파악해보자. 갈등의 압도적 원인은 ‘이해관계의 충돌’일 것이라 짐작된다. 따라서 갈등의 원인을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수많은 사람이 어울려 사는 사회에서 이해관계를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결국 이해관계의 조절이 관건인데, 구체적 방안으로는 ‘힘’ 혹은 ‘대화’가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익을 위해 상대를 짓밟아왔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행동 하나하나가 강력해진 오늘날, 힘으로 갈등을 해결하려는 것은 큰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우리는 대화를 도구 삼아 타협해 나가야 한다. 물론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라고 반박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렇게 해야만 한다.

잠깐 지구와 문명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자. 인간은 우주의 찰나 동안 지구에 머물다 가지만, 지구와 문명은 그 찰나의 인간들이 만들어낸 소중한 결정체다. 인간의 손으로 지구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는 사실은 마음 아프다. 칼 세이건은 『창백한 푸른 점』에서 먼지만큼 작게 찍힌 지구의 사진을 보며 “우리의 만용과 자만심, 우리가 우주 속의 특별한 존재라는 착각에 대해, 저 희미하게 빛나는 점(지구)은 이의를 제기합니다. 저 사진은 우리가 서로 친절하게 대하고, 우리가 아는 유일한 보금자리인 창백한 푸른 점(지구)을 소중히 보존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우리는 이제 싸움을 멈춰야 한다. 갈등을 생산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대화는 허공에 대고 소리치는 것이 아닌, 서로 존중하고 보편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공론(公論)이 되어야 한다. 우리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서. 소중한 지구를 지키기 위해서.

양정범(상상력 1)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