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학송> 아침밥 타령은 이제 그만 (한성대신문, 588호)

    • 입력 2023-04-17 00:00
    • |
    • 수정 2023-04-17 00:00

여기, 고물가 시대 속 청년을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 있다. 일명 ‘천원의 아침밥’이다. 2017년 처음 시행된 천원의 아침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일컬어지는 2023년의 대학가에 또 한 번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해당 사업은 학생이 천원을 지불하고, 정부가 천원을 지원하면, 차액을 대학이 메우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언론에서 떠들썩하게 보도하는 본 사업의 명칭은 2000년대 초반 한 예능 프로그램의 프로젝트였던 ‘만원으로 일주일 버티기’를 떠올리게 한다. 요즘 젊은 층의 ‘무지출 챌린지’ 등을 목도하면서도 연상됐던 과거의 기억이다. 언뜻 비슷해 보이는 이들의 실상은 전혀 다르다. 챌린지 형식의 절약 프로젝트는 생활고에 허덕이는 일부 청년의 상황과 결코 비교할 수 없으니 말이다.

천원의 아침밥은 학생의 식비 부담을 덜고 국내 쌀 소비를 늘릴 수 있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 정책이라는 점에서 분명히 의의가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22년 해당 사업에 참여한 28개 대학의 5,437명 재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한 결과, 앞으로도 사업이 지속되기를 바란다는 응답자는 98%를 웃돌았다. 이에 더해, 기존보다 많은 대학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추가 모집까지 진행됐다.

하지만, 동일한 고물가 시대를 보내는 비대학생 청년은 해당 사업의 수혜에서 배제됐다. 대학에 다니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정책의 대상이 아닌 것이다. 비교적 대학 재정 상태가 열악한 지방 소재 대학 역시 해당 사업에 참여하기란 쉽지 않다. 정부 지원이 있다 하더라도 차액은 대학이 부담해야 하는데, 재정적 여유가 없는 일부 대학은 이조차 버거운 실정이다. 무엇보다 참여 대학이 늘었다 하더라도, 현재 전국에서 41개교만이 시행하고 있기에 여전히 미참여 대학이 주류인 상태다.

학생이 저렴하게 끼니를 해결하고자 아침 일찍부터 등교하는 작금의 상황은 꽤나 씁쓸하게 느껴진다. 어떻게든 비용을 아끼며 살아내려는 청년의 절박함이 너무나 잘 드러나는 대목이 아닌가. 게다가 현 청년 세대가 버텨내야 할 상황은 치솟는 물가뿐만이 아니다. 단군 이래 역대 최고의 스펙을 가진 자라는 평가를 받으면서도 취업 시장에서 낙방하는 것이 낯설지 않으며, 최저 주거기준을 겨우 넘긴 집을 공급해대는 사회 속에서 그저 삶을 살아내고 있다. 이외에도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하는 등 그들이 견뎌야 하는 삶의 무게는 끝이 없다.

그런데 용산과 여의도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젊은이들의 고충을 제대로 알기는 하는지, 너나 할 것 없이 더 많은 아침밥만을 약속하고 나섰다. 청년층이 맞닥뜨린 수많은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은 고안하지 않은 채, 시류에만 편승하고자 혈안인 모습이 마뜩잖다. 그저 내년 예정된 선거에서 더 많은 표를 얻기 위해 더 큰 지원을 내뱉는 모양새가 아닌가.

천원으로 아침밥을 먹을 수 있는 사회가 아닌, 일자리 걱정, 이사 걱정, 생활비 걱정, 끼니 걱정, 그리고 하루하루를 살아낼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사회를 바란다. 당연히 이를 위한 사회적 기반이 필요할 테다. 왜 학생들이 이른 아침부터 천원으로 밥을 먹으러 학교에 나올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진정으로 고민하고, 또 공감하고, 결국에는 묘안을 찾아내 안정적 사회가 도래하길 염원한다.

한혜정 편집국장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