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하면서 본교 재학생 및 졸업생이 주최하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지난 6일 오후 2시 찬성 측은 본교 정문 앞에서, 탄핵 반대 측은 성북천 분수마루광장에서 집회를 진행했다. 양측 재학생 및 졸업생 참여자 수는 찬성 측 20명, 반대 측 6명가량이었으며, 외부인도 자리했다. 찬반 집회 진행 장소가 달라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탄핵 찬성 집회는 ▲취지 설명 ▲졸업생입장 발표 ▲재학생 입장 발표 ▲참가자현장 발표 ▲기자회견문 순으로 진행됐다. 찬성 측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12월 3일 윤석열의 군사 쿠데타 시도는 민주 시민과 학생들의 피로 쟁취한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반민주적 공격이었다’며 ‘우리는 윤석열을 탄핵하고 극우 세력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집회의 취지를 밝혔다. 집회에 참가한 최영은(ICT 4)학생은 “정치적 입장 표명을 꺼리는 사회 분위기가 있지만, 이런 입장을 밝히는 것 역시 대학생의 의무라고 생각해 참여하게됐다”며 “마땅히 탄핵됐어야 할 일이 더 이상 지연되지 않고 조속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같은 시각 탄핵 반대 집회는 ▲학생증 퍼포먼스 ▲국민의례 ▲개회사 ▲졸업생 연사 ▲폐회사 등으로 이뤄졌다. 반대 측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선포 이후 대통령 담화문과 체포 과정에서 자행된 불법적인 일들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이유를 알 수 있게 됐다’며 ‘대한민국의 주권이 위협받고 자유 민주주의 질서가 무너지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목소리 내고자 시국 선언문을 작성하게 됐다’고 발언했다. 집회를 주도한 문기업(컴공 4) 학생은 “청년의 한 사람으로서 대통령이 억울하게 당하는 부당한 현실을 묵과할 수 없었다”며 “대통령 체포 과정 등에 있어 헌법재판소가 편향된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학가 전반의 탄핵 찬반 집회가 물리적 충돌로 번지기도 하며 안전상의 우려가 제기됐으나, 본교는 큰 충돌 없이 집회가 마무리됐다. 당초 탄핵 찬성 집회가 학내 공간에서, 탄핵 반대 집회는 우촌관과 미래관 앞에서 각각 진행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대학본부의 장소 변경 조치에 따라 계획이 수정됐다. 『한성대학교 학칙』 제51조에서 ‘집단적 행위·성토·시위·농성·등교거부·마이크 사용 등으로 학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어떠한 행위도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본부는 이번 조치가 학칙뿐만 아니라 학생의 안전과 수업 환경 보장을 위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앞으로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동일한 기준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중집(학생장학팀) 팀장은 “대자보 부착과 같은 학내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추후 이 같은 집회가 열릴 때도 학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승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