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미래관 승강기 일부 결함… 본부 “교체 예정” (한성대신문, 610호)

    • 입력 2025-04-14 00:00
    • |
    • 수정 2025-04-14 00:00

미래관 승강기 3호기(이하 3호기)가 노후화 및 기기 불량 문제가 확인됐다. 3호기는 미래관 지하 2층과 지상 2층을 오가는 승강기다. 해당 승강기는 노후화 문제뿐 아니라 승강기의 일부 부품 및 승강로 하부 상태가 불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대학본부 측은 올해 여름방학 중 3호기를 교체 예정이며, 그 외의 노후 승강기도 내년까지 전면교체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3호기는 ‘노후 승강기’로, 성능 저하 및 부품 고장의 위험이 존재한다. 국가승강기정보센터에 따르면 3호기의 최초설치일은 2003년 7월 14일로, 설치 후 20년이 경과됐다. 박현호(한국승강기안전공단 서울북부지사) 팀장은 “승강기 부품의 평균 내구연한*은 일반적으로 10~15년 정도”며 “노후 시 성능 저하, 오작동, 내부 구성품의 손상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노후화에 따라 3호기를 지탱하는 로프의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술한 기관의 「승강기 자체점검** 이력 조회」에 따르면 ‘로프(벨트)의 마모 및 파단상태’에서 B(주의관찰)라는 점검결과가 기록됐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3호기의 자체점검을 담당한 권형빈(하나로 M.G.M) 사원은 “승강기 구동을 위한 로프의 상태가 좋지 않아 주의관찰이라는 점검결과를 내렸다”고 전했다.

해당 결과에 대해 대학본부 측은 3호기의 로프를 교체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해 교체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재도(자산관리팀) 부팀장은 “매월 실시하는 자체점검에서 로프의 교체 주기가 도래하고 있음을 판단하고 결과표에 ‘주의관찰’로 표기한 내용”이라며 “지금은 로프 교체 판단기준 이하의 상태”라고 부연했다.

3호기의 수동 비상운전수단에도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됐다. 수동 비상운전수단은 브레이크를 수동 개방해 승강기를 인접 층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승강기 작동이 멈출 경우 주요한 구출 수단으로 작용한다. 같은 기관의 「승강기 검사이력 조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진행된 정기검사***에서 3호기의 ‘수동 비상운전수단의 설치 및 작동상태’에서 불합격을 받은 바 있다. 박 팀장은 “수동 비상운전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해 승객이 갇혔을 때 승객 구조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학본부 측은 3호기가 비상 발전기와 연결돼 있기 때문에 정전이 발생해도 원활한 운행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한 부팀장은 “교내 모든 승강기는 정전이 일어나도 변전실에 있는 비상 발전기를 통해 운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동기간 진행된 검사에서 3호기는 ‘피트 청결상태 불량’이라는 불합내역 또한 확인됐다. 피트는 승강로의 가장 아랫부분으로, 최하층 승강장 바닥 아래의 공간을 말한다. 피트에는 승강기가 최하층을 지나쳐 움직일 경우 그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및 종점 스위치와 같은 여러 안전스위치 등이 설치돼 있어 청결이 중요하다. 박 팀장은 “피트에 먼지가 오랫동안 적체돼 각종 전기 장치에 붙으면 스위치의 오작동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대학본부 측은 피트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부팀장은 “승강기 유지보수업체를 통해 정기검사 시마다 청소를 시행하고 있다”며 “향후 철저한 관리를 통해 승객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대학본부 측은 3호기를 여름방학 중에 교체할 예정이며 다른 건물의 노후화된 승강기 또한 순차적으로 바꿀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2026년까지 ▲우촌관 ▲탐구관 ▲지선관 ▲공학관 ▲창의관 등의 승강기가 전면 교체될 예정이다. 한 부팀장은 “본교의 모든 승강기는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연식에 따라 선제적으로 교체공사를 시행하고 있다”며 “올해에는 3호기와 낙산관 승강기를 여름방학 중에 교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내구연한 : 원래의 상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

**자체점검 : 『승강기 안전관리법』에 따라 관리주체가 월 1회 실시하는 검사

***정기검사 : 동법에 따라 설치 후 2년마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서 진행하는 검사

박석희 기자

[email protected]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