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청년에게 드리워진 ‘청년 대출’의 그늘 (한성대신문, 533호)

    • 입력 2018-04-16 00:00

 20세를 넘겨 성인이 된 순간부터, 청년들은 항상 대출이라는 유혹에 노출된다. 시중은행을 필두로 한 제1금융권에서 안내하는 수천만 원 규모의 거창한 대출은 아니더라도, 수십만 원 규모의 소액대출은 ‘즉시 대출’, ‘간편 대출’ 등 의 문구로 청년들을 유혹한다. 이에 더해 지난해 4월에는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7월에는 카카오뱅크가 연달아 정식 출범하면서, 모바일을 통한 비대면 대출 또한 가능해져 청년들이 대출받을 수 있는 경로가 더욱 다양해졌다.
 청년 대출이 위험한 이유는 그들이 상대적으로 건전하고 신용 있는 대형 은행에서 대출 받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대학생은 특별한 금융 거래가 없으므로 대개 ‘중신용자’로 분류돼 신용등급이 6등급으로 정해진다. 물론, 중신용자도 대출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중신용자에게 대출해 줄 경우 은행이 감당해야하는 위험부담이 커지므로 주요 은행들이 속한 제 1금융권에서는 청년이 대출받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주요은행을 비롯한 제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못한 청년들은 저축은행과 같은 제 2금융권, 심지어 대부업체와 같은 사금융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다. 특히, 사금융권은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쳐, 이후에 대출 할 때도 지장을 준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대출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햇살론’과 같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민대출상품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햇살론’은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정책금융’ 상품이다. 이렇게 정부가 서민들을 위해 만든 정책금융상품을 ‘서민금융’ 상품이라고도 한다. 이런 상품은 서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금리나 신용등급 관리 측면에서 이용 부담이 훨씬 적다. 이에 따라 청년의 부채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청년을 위한 정책금융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우리학교 김상봉(사회과학부) 교수는 “현재로서는 정부가 정책금융으로 해결하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금
융권은 서민대출상품에 자금을 투자하는 것에 소극적이므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관련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 교수는 “애초에 청년은 제 2금융권에도 가서는 안 된다.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축은행, 대부업을 비롯한 사금융을 찾거나, 카드론을 이용하는 행동은 모두 신용등급을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경고하며 “대출은 굉장히 신중하게 생각해보고 결정해야 한다. 금융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굉장히 보수적으로 살아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더불어 한영섭(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부설 내지갑연구소) 소장은 “청년들은 대책 없이 대출을 받기보다는 어떻게 상환할 것인가를 먼저 고민해야 한다. 대출을 받더라도 고금리 상품보다는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낫고, 필요한 경우 신용회복위원회와 같은 금융전문가를 찾아가 상담을 통해 상환계획을 세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심상우 기자
[email protected]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