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걸어서 덕질 속으로 (한성대신문, 544호)

    • 입력 2019-04-15 00:00
    • |
    • 수정 2019-10-16 15:55

덕질 변천사 1996-2019

문화생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덕질’. 영화, 연예인, 만화 등 저마다의 관심분야가 다양하겠지만, 가장 ‘핫’한 분야를 꼽는다면 단연 ‘아이돌(idol)’이다. ‘팬덤(fandom)’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아이돌 덕질은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돼 현재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오프라인 위주로 팬 활동을 했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SNS 없는 덕질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온라인을 중심으로 덕질 방법과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단지 연예 기획사나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해 SNS를 통해 공유·판매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터넷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의 팬덤은 어떻게 활동했던 걸까? 과거와 현재의 덕질 현장을 자세히 들여다봤다.

​인터넷 없는 덕질, 상상은 해봤나?

아이돌 팬덤의 역사는 1996년 ‘H.O.T.’ 의 데뷔와 함께 시작됐다. 당시는 소속사가 운영하는 공식 팬클럽에 가입하는 것이 팬 활동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인터넷이 발달되지 않아 팬클럽 위주로 정보가 공유됐기 때문이다. 팬클럽은 각 지방에 지부를 두고 있었는데, 지부별로 회장이 존재해 지방 팬들은 지부 회장을 통해 정보를 전해 들을 수 있었다.

아이돌 그룹 ‘신화’의 팬클럽 ‘신화창조’ 6기였던 정유미(31) 씨는 “그때는 휴대폰도 많이 가지고 있지 않아 거의 소문으로 정보를 얻었다. ‘지부 회장이 어디 학교라더라’, ‘어느학교 누가 팬클럽 가입했다더라’라고 소문이 나면 몇 다리씩 건너 연락을 했었다”고 회상했다.

콘서트 티켓팅도 직접 발로 뛰어야 했다. 지금처럼 인터넷 거래 사이트에서 클릭 몇 번으로 티켓을 배송받는 것이 아니라, 은행에서 종이 티켓을 팔았기 때문이다. 직접 서울에 갈 수 없는 지방팬들은 지정된 장소에 모여 팬클럽에서 구매한 티켓을 선착순으로 배부 받았다.

▲1세대 아이돌 그룹 ‘신화’의 굿즈. 잡지와 CD, 카세트테이프, 잡지 부록으로 딸려온 수첩 등이다. 수첩에는 멤버들의 정보가 담겨있다. [사진제공 : 정유미]

팬덤 혹은 아이돌과 관련된 상품인 ‘굿즈(goods)’도 다양하지 않았다. 지금은 ‘굿즈’라는 단어가 팬덤 용어로 정착될 만큼 굿즈가 아이돌 시장의 일부로 자리잡았지만, 당시에는 팬덤을 구분할 수 있도록 기획사에서 지급한 우비와 풍선이 전부였다. 현재 가장 흔하게 유통되는 ‘포토카드(Photo Card)’조차 기획사에서 공식적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정 씨는 “포토카드는 문방구에서 코팅해서 팔거나, 직접 인쇄해서 코팅해 소장했다. 배지나 열쇠고리도 잡지 사진을 구해서 문방구에 가져가면 기계로 눌러 만들어줬다. 지금처럼 콘텐츠가 다양하지 않아 소장하고 볼만한 자료도 잡지뿐이었다”고 설명했다.

잡지에 딸려오는 부록도 소중한 자료였다. 비록 이곳저곳에서 인터뷰한 것을 짜깁기한 어설픈 내용이었지만, 소장할 수 있는 자료가 많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 카세트테이프와 CD를 모으기도 했다. 소장 목적도 있지만 음원이 존재하지 않던 당시에는 음반 판매량이 가수의 음악방송 순위와 연말 시상식 수상에 주로 반영됐기 때문이다.

없어? 그럼 내가 만들지 뭐!

▲요즘 아이돌 그룹 팬들이 제작한 비공식 굿즈. 그룹 ‘NCT’ 멤버 ‘재민’의 별명이 새겨진 손거울이다. 사진제공 : 나나별(트위터 @_nanastar)

2000년대에 들어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팬덤 활동의 형태도 변화했다. 가장 큰 변화는 아이돌 시장에서 팬덤의 지위 변화다. 팬들이 기획사가 생산한 콘텐츠를 구매하는 ‘소비자’에서 스스로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생비자(프로슈머)’로 탈바꿈한 것이다. ​

이들이 제작한 콘텐츠는 대부분 SNS를 위주로 공유된다. 프로슈머로서 가장 대표적인 팬의 형태는 바로 ‘찍덕(사진을 찍는 덕후)’이다. 다른 말로 ‘홈마(홈페이지 마스터)’라고도 하는데, 팬페이지나 SNS 계정을 개설해 자신이 직접 찍은 고화질 사진과 동영상을 공유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아이돌 시장은 찍덕 없이 돌아갈 수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들이 팬덤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대단하다. 대부분의 팬들이 이들이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보고 팬덤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팬이 직접 제작한 비공식 굿즈. NCT멤버 ‘해찬’의 별명이 새겨진 휴대폰 케이스다. 사진제공 : 망찌(트위터 @mangzzis2)

굿즈를 직접 제작해 판매하는 팬도 생겨났다. 트위터에서 굿즈를 판매하고 있는 망찌(@mangzzis2)는 “소장가치가 있는 굿즈를 갖고 싶었는데, 언제까지나 누가 만들어주기만을 기다릴 수 없어 직접 제작하게 됐다”고 활동 동기를 설명했다. ​

아이돌 굿즈는 이렇게 팬들이 판매하는 ‘비공식 굿즈’와 기획사에서 판매하는 ‘공식 굿즈’로 구분된다. 비공식 굿즈는 스타의 실사 얼굴이나 그룹 로고가 새겨진 공식 굿즈와 달리,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를 2D 캐릭터화 하거나 팬들만 아는 별명을 새겨 일상생활에서도 부담스럽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종류도 키링(key ring), 손거울, 시리얼컵, 캐릭터 스티커, 휴대폰 케이스 등 실용성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팬이 직접 제작한 비공식 굿즈. NCT 멤버 ‘마크’를 일러스트로 그려 제작한 배지다.사진제공 : 지니(트위터 @LOVER_0802)

한편, 자신의 가치관을 반영해 ‘선택적 소비’를 하는 팬들도 늘어나고 있다. 팬덤 내에서 스타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식이 높아지면서, 공식 스케줄 외의 콘텐츠 소비를 지양하는 것이다. ​

방탄소년단의 팬인 정수현(22) 씨는 “사진이 아무리 예쁘더라도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홈마의 사진은 소비하지 않는다. 행사에서 질서를 어기고 지나치게 밀착해서 사진을 찍거나 스토커 수준으로 스타를 따라다니는 건 잘못된 행동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

실제로 스타의 사진과 동영상이 활발히 공유되는 트위터와 카카오톡 오픈채팅에서도 ‘공출목(공항사진, 출근길 사진, 목격 사진) 지양’이라는 프로필을 내건 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현대의 팬들은 콘텐츠뿐만 아니라 팬덤 문화까지도 능동적으로 형성해나가고 있다.​

정명아 기자

[email protected]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