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019 세계 언론자유지수’가 발표됐다. 이 지수는 국경없는 기자회가 매년 전 세계 180개국을 대상으로 언론자유도를 순위화해 발표하는 지수다. 평가 기준은 ▲다원주의 ▲언론 독립성 ▲미디어 환경과 검열 ▲투명성 등으로 이뤄져 나름의 공신력을 가진다. 올해 한국은 41위, 옆 나라 일본은 67위를 기록했고, 북한은 집계조차 되 지 않았다. 여기에 우리나라는 이 평가에서 최근 3년 연속 상승곡선을 그렸다. 결과를 접하면서 문득 의문이 들었다. 과연 학보사 의 언론자유지수는 어떨까.
대학언론 즉, 학보사의 언론자유지수에 관한 정확한 지표나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타 학보사의 사례와 과거에 기자들과 나눈 대화를 비추어 볼 때 좋은 평가는 어려울 듯하다. 최근까지도 학보사의 편집권 침해 사례는 국·사립대학을 가리지 않고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서강대학교 공식 학보사인 <서강학보>는 주간교수와 학교 당국의 편집권 침해에 항의해 전면을 백지로 발행한 바 있다. 과거 본사도 부분적으로나마 백지발행을 진행한 바 있기에 <서강학보>의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동시에 타 학보사 기자들과 나눈 대화가 떠올랐다. 당시 기자가 ‘각 학보사의 편집권은 잘 지켜지고 있나’라 는 질문을 던졌을 때 기자들의 반응은 제각각이었다. 편집권이 잘 보장되고 있다는 학보사가 있는가 하면, 주간교수가 무리한 기사 수정을 부탁했다는 학보사까지 그 형태도 학보사 수만큼 다양했다. 그럼에도 공통된 의견이 있었는데, 바로 ‘납득되지 않는 편집권 침해’다. 이어서 “합리적이고 정당한 이유라면 기사 수정을 거부하는 기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 두 의견은 ‘정당한 취재권과 편집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면에서 궤를 같이한다. 그래서 <서강학보>의 백지발행이 고개가 절로 끄덕여졌다. 한편으로, 시대착오적인 편집권 침해가 가뜩이나 학생들의 무관심에 신음하는 학보사에 연이은 악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앞서 말했듯 우리나라는 최근 ‘세계 언론자유지수’에서 상승곡선을 그렸다. 그렇다면 작은 사회라 불리는 대학사회 속에서 ‘대학언론’은 어떤 곡선을 그릴까. 두 곡선의 격차가 커질수록 괴리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우리 모두는 그 간극을 좁히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대학언론이 발행하는 신문의 자유지수가 적어도 하향곡선은 아니길 바란다.
심상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