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학송> 대학 민주화를 꽃 피울 그날까지 (한성대신문, 550호)

    • 입력 2019-11-11 00:00
    • |
    • 수정 2019-11-11 00:05

최근 대학가에 부는 변화의 바람이 심상치 않다. ‘총장직선제’ 때문이다. 기존 수많은 대학이 간선제 방식으로 총장을 선출해 왔지만, 최근 대학가의 동향을 보고 있자면 총장직선제가 하나의 시류가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총장직선제는 단어 그대로 학내 구성원이 총장을 직접 선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많은 대학들이 직선제 방식으로 총장을 선출했다. 하지만 2012년 교육부가 직선제 폐지를 추진한 뒤부터는 국·사립대학을 불문한 거의 모든 대학이 간선제를 채택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직선제 쟁취를 위한 바람이 다시금 불고 있다. 현재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으며, 사립대학 역시 이화여대를 필두로 성신여대, 상지대, 서울대 등이 총장직선제를 쟁취했다.

여기에서 학생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눈에 띈다. 지난 5월에는 국민대 총학생회장이 학생 참여 총장직선제를 위한 ‘무기한 단식 투쟁’을 벌였다. 국민대는 결국 이들의 요구를 수용해 7월부터 총장선임규정 개정 논의를 진행했다. 숙명여대에서는 총학생회가 7년 만에 전체 학생총회를 열고 학생 3,000여 명의 의견을 모아 대학본부에 전달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의견이 관철되지 않자 총학생회장은 결국 ‘무기한 노숙 농성’을 벌이는 일까지 단행했다. 이들의 움직임을 보고 있자면, 총장직선제는 그저 일부 학생들의 작은 요구가 아닌 학내 민주화를 위한 ‘투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생각까지 든다.

이사회와 재단의 힘이 막강한 사립대학에서 학생이 총장직선제를 위한 목소리를 높인다는 것은 분명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학내 정치에 관심 없는 학생들의 여론을 수렴할 수 있을지 미지수인 것은 물론, 대학 및 일부 교수들과의 마찰 또한 불가피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또한 사립대학이 법인화돼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기에 ‘이사회만이 총장을 선출할 수 있다’는 주장이 틀린 말은 아니라는 의견도 많다.

학생사회는 이러한 위험과 어려움을 감수하면서까지 총장직선제를 쟁취하려 한다. 숙명여대 총학생회장의 말을 빌리자면 “총장직선제는 평등하고 민주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제도”이기 때문이다. 즉, 학생에게도 총장을 직접 선출할 수 있는 투표권이 주어져야 학내 민주화가 비로소 번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또 한편으론 일부 교원들의 투표와 이사회의 최종 선택으로 선출된 총장이 학생들의 의견을 과연 얼마나 반영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같은 이유로 학생들은 계속해서 대학과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 투쟁에서 학생들은 앞선 단식 투쟁, 노숙 농성 등의 ‘초강수’도 서슴지 않는다. 이러한 시류의 한 가운데서 한성대학교의 학생사회는 놀라우리만큼 조용하다. 또한 본교는 오는 12월, 간선제 방식으로 진행될 제10대 총장 선거를 목전에 두고 있다.

누군가 ‘민주주의의 꽃은 투표’라고 말했다. 과연 4년 뒤의 제11대 총장 선거, 또 그 이후의 총장 선거에서 한성대학교의 민주주의는 꽃 필 수 있을까. 그리하여 언젠가 한성대학교의 학내 민주화는 모두 만개할 수 있을까.

장선아 편집국장

댓글 [ 0 ]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댓글등록
취소
  • 최신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