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제35회를 맞이한 한성문학상 시부문 응모작들을 꼼꼼하게 읽었다. 개성적인 목소리의 작품들이 많았다. 시적 관심사, 발성의 방식, 형식 등이 개별 작품마다 상이했다. 시적 모티프가 지나치게 사념적인 것에 머물러있거나 시적 진술의 내용이 모호한 작품 들도 꽤 있어서 아쉬웠다는 점도 함께 지적하고 싶다. 마지막까지 검토한 작품은...
상을 받을 거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기에 갑작스레 온 수상 문자가 제 무딘 일상에 화려한 폭죽처럼 날아 왔습니다. 잠결에 확인한 문자가 그저 꿈인 줄 알았던 저는 다시 눈을 감았습니다. 하지만 문득 제가 써왔던 여러 시들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며 번쩍거리더라고요. 그러고는 외마디 비명과 함께 엄마에게 달려갔습니다. 제게 시는...
김예영(인문 3) 수상의 순간은 늘 기쁘고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그리고 시를 창작할 때 잊어서는 안 되는 마음가짐을 상기시키는 기회인 것 같습니다. 저는 고등학생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는 서툴렀어도 늘 하고 싶은 말이 많았고, 백지를 채워나가는 것에 용감했습니다. 그런데 시를 쓰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제34회 한성문학상 시 부문 응모작들을 읽었다. 각각의 작품마다 시 창작의 열의를 느낄 수 있었다. 사실 시 창작에 있어서 수준의 낮고 높음이 제일로 중요한 게 아니라, 시 창작을 하려는 그 선의의 의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시 창작을 통해 대상과 세계를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고, 또 나의 심연을 조리 있게 살펴볼 수 있으며, 나의...
이은혜(ICT 3) 김예영 해동용궁사 돌담길을 걷는데 바닷바람에 흔들리는 은방울꽃이 보였다 그 꽃은 한 줄기마다 갓난쟁이의 통통한 귓불을 주렁주렁 매달고 있었다 막 피어난 은방울꽃은 귀를 쫑긋쫑긋 세우며 주변의 소리를 담았다 동자승의 설익은 목탁 소리가 신기한지 꺄르르...
우효빈(인문 2) 처음에 가작 당선 소식을 듣고 많이 놀라고, 믿겨지지가 않았으며, 울컥했습니다. 전 제 자신이 글 쓰는 데 재능이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이 수상이 저에게는 값집니다. 계속 쓰면 된다는 자신감이 생겼거든요. 식견도 아직 짧고, 나이도 어리고 인격 수양을 더 해야 하는 저에게 분에 넘치는 큰 상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열 편의 소설을 여럿의 자리에서 읽어 보았습니다. 독자, 비평가, 연구자의 자리를 거쳐 글쓴이의 자리까지 옮겨 다녔습니다. 자리에 따라 눈에 들어오는 작품들이 달라졌습니다. 전반적으로 아쉬움이 먼저 들었습니다. 자신이 그려내고 싶은 세계로 독자들을 이끄는 서사성이 미흡하고 혼이 담긴 문장들을 찾아보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메시지가...
박소진(예술 1) 곱게 낡은 종이의 향이 책방을 가득 채운다. 외관은 아주 낡은 동네 책방이지만 개화기 시절에 볼 법한 골동품들로 인테리어 된 책방은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풍겼다. 그런 느낌들을 좋아하는 사람들로 인해 동네 책방은 단골이 꽤 많은 편이었다.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핸드폰보다는 종이나 펜을 들고...
최병찬(부동산 3) 부끄럽습니다. 제 소설이 가작으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처음 들었던 생각입니다. 제 소설은 지금 읽어보아도 부족하고 미약합니다. 이런 미약한 글로 상을 받아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상을 받은 기쁨보다는 학교 문학상 위상에 흠이 될까 걱정이 더...
김인경 초빙교수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학) 정원채 학술연구원 (사고와표현교육과정) 이번 한성문학상 소설 부문 심사에...
김성현(시각영상 4) 가로등은 흐릿하게 거리를 비추고 있었다. 나는 집으로 혼자 갈 수 없다는 유민을 배웅해줬다. 유민의 집에 도착하자 나는 유민에게 인사를 하고 돌아가려 했다. 그때 내 허리에 감촉이 느껴졌다. 나를...
신경호(한국어문 3) 참 뻔하디 뻔한 말이지만 정말 날아갈 듯이 기쁘고 아직까지도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말로만 듣고, 상상으로만 그려온 한성문학상이라니요. 평소에 좋아하고 관심을 가져온 시 부문에서 상을 받은 것도 기쁘지만, 주머니가 궁한 보통의 대학생인지라 상금을 받는...
문태준 시인. 1994년 ‘문예중앙’으로 등단. 시집으로 , , , , , , 등이 있음. 노작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동서문학상, 유심작품상, 목월문학상 등 수상. 한성문학상에 응모한 작품들을 읽었다. 개성적인 작품들이 많았다. 마지막까지 경합한 작품들은 이진호(경영 4) 학생의 외 4편,...
신경호(한국어문 3) 1그해 여름날 아버지와 내가 살던 집은 뽑힌 이빨이 되었다 뻰치에 무자비하게 뽑힌 이빨은 다른 집 지붕 위로 던져졌다 시골서 보낸...
아홉 편의 소설을 늘어놓아 보았습니다. 죽음과 절망, 실연 등이 징검다리처럼 아홉 편 사이에 자리를 잡고 있었습니다. 이 시대의 ‘젊은’ 작가 지망생들은 그렇게 우리 사회를 읽어내고 있었습니다. 비록 아홉 편이지만 손에 들고 보기에는 너무 무거웠습니다. 소설은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를 엮어 내는 솜씨들이 아쉬웠습니다. 소설이 신문 기사나...